-
-
- 고려대, 4년 연속 정시 입시결과 사립대 1위... 연세대와 뚜렷한 격차
- 고려대, 4년 연속 정시 입시결과 사립대 1위 대학어디가 공시 및 종로학원 종합 분석 결과 연세대와 격차 뚜렷△ 고려대학교 전경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가 2022학년~20
- 2025.07.08 커뮤니케이션팀
게시글 리스트
-
-
고려대, 4년 연속 정시 입시결과 사립대 1위 대학어디가 공시 및 종로학원 종합 분석 결과 연세대와 격차 뚜렷△ 고려대학교 전경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가 2022학년~2025학년도까지 4년 연속 정시모집 합격선에서 사립대학 가운데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정보포털 대학어디가 공시자료와 종로학원(202커뮤니케이션팀 2025.07.08 10
-
-
고려대 전주완 박사후연구원, 세계적 학술지 PNAS에 논문 두 편 연속 게재 쾌거- 초기 고생대 생물초 생태계 진화의 숨겨진 역사 규명△ 층공해면동물초 박편 사진: 사진 중 어둡게 보이는 부분이 세계 최초로 보고된 인산염질 해면동물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지구환경과학과 전주완 박사후연구원(지도교수 조석주 교수)이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Proceedings커뮤니케이션팀 2025.07.04 21
-
-
고려대, AI로 고성능 물 분해 촉매 후보 찾았다...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 생산 기대a. 더블 페로브스카이트 촉매 데이터 생성 과정. b. 촉매 탐색을 위해 고려된 특성들(열역학적, 전기화학적 안정성, 과전압). c. 특성 예측 모델의 모식도와 예측 성능(조성 기반 회귀 모델, 결정 그래프 신경망.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KU-KIST 융합대학원 백서인커뮤니케이션팀 2025.07.04 21
-
-
고려대 김성도 교수, 유럽 국제학술대회서 동양권 유일 연사로 초청△ 발표 중인 고려대 언어학과 김성도 교수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언어학과 김성도 교수가 지난 6월 23일(월)부터 24일(화)까지 열린 브루노 케슬러 재단(Bruno Kessler Foundation, 트렌토 소재) 주최 국제 학술대회에 연사로 참여했다. 김 교수는 이번 행사에 동양권 학자로커뮤니케이션팀 2025.06.27 17
-
-
고려대 박성철 교수팀, 미국 보건의료학회 신진 연구자상 수상...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정책의 영향 규명뇌 MRI 보장성 확대가 유발한 저가치 의료 이용 분석 연구로 주목△ (왼쪽부터) 고려대 박성철 교수, 고려대 배기련 석박사통합과정, 시카고대 김대호 교수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보건정책관리학부 박성철 교수 연구팀의 배기련 대학원생(석박사통합과정)이 6월커뮤니케이션팀 2025.06.20 31
-
-
배우자 사별 후 외로움, 성별 돌봄 경험에 따라 달라진다배우자 돌본 남성, 사별 후 더 장기간 외로움 느껴△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김진호 교수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보건정책관리학부 및 4단계 BK21 정밀보건과학융합 교육연구단 김진호 교수 연구팀이 배우자 사별이 노년층의 외로움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본 연구 결과는 노인학커뮤니케이션팀 2025.06.18 44
-
-
고려대, 배터리 열폭주 막을 해결책 찾았다전해질 설계로 배터리 안전성 향상 및 난연성 솔루션 제시△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폭주 현상의 다양한 원인과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모식도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유승호 교수팀이 인(Phosphorus) 기반 난연성 첨가제를 활용해 기존 유기 전해질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이고, 배터리 폭발의 주요 원인인 열폭주 현상을 효과커뮤니케이션팀 2025.06.17 33
-
-
고려대-한양대, 한 쪽으로 나아가는 빛 구현한 메타표면 개발△ 빛의 진행 방향에 따라 한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이중층 메타표면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물리학과 공수현 교수 연구팀이 한양대학교 윤재웅 교수 연구팀과 함께, 빛이 특정 방향으로만 방출되도록 유도하는 새로운 광메타표면을 개발했다.*메타표면: 나노 구조로 빛의 방향과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커뮤니케이션팀 2025.06.11 58
-
-
고려대, 전기차를 움직이는 에너지 자산 으로 사용자 맞춤형 V2G 설계 △ 시뮬레이션 결과, 운전자 행동을 반영한 V2G 도입만으로도 순 부하 곡선이회색 실선에서 검은 점선으로 이동하며 눈에 띄게 평탄화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평탄화는 전력설비 투자비와 운영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재생에너지의 전력계통 수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된다.커뮤니케이션팀 2025.06.09 40
-
-
고려대, 납 없는 친환경 태양전지 상용화에 한걸음라디칼 제거제 활용한 산화 억제 및 계면 구조 안정화 기술 개발△ TEMPOL 분자 구조(좌), 주석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모식도(중) 및 단면 이미지(우)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융합에너지공학과 박혜성 교수 연구팀이 주석(Sn)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계면 제어커뮤니케이션팀 2025.06.05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