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형 ARPA-H 과제 선정… 차세대 뇌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개발 나선다
- 고려대, 한국형 ARPA-H 과제 선정 차세대 뇌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개발 나선다△ 한국형 ARPA-H 과제 퇴행성 뇌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연구 착수식 현장고려대학교(총장 김
- 2025.09.17 커뮤니케이션팀
게시글 리스트
-
-
고려대, 한국형 ARPA-H 과제 선정 차세대 뇌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개발 나선다△ 한국형 ARPA-H 과제 퇴행성 뇌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연구 착수식 현장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바이오의공학과 유용상 교수 연구팀이 2025년 7월 30일 한국형 ARPA-H(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for Health) 과제에커뮤니케이션팀 2025.09.17 11
-
-
고려대 NLP AI 연구실, 국제 인공지능 학술대회 EMNLP 2025서 논문 11편 채택△ 고려대 임희석 교수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컴퓨터학과 임희석 교수가 이끄는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연구실(NLP AI Lab)이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분야 최고 권위 학술대회인 EMNLP 2025에서 총 11편의 논문을 채택받는 성과를 거뒀다.EMNLP(Empirical커뮤니케이션팀 2025.09.10 24
-
-
고려대, 세계 최초 자성 나노 나선 구조 구현 전자 스핀 제어 성공△ 카이랄 자성 나노 나선의 모식도연구진은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금속을 만들 때 카이랄 분자를 첨가해, 입자가 결정화되는 방향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제어했다.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신소재공학부 김영근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 남기태 교수 연구팀과 함께, 외부 자기장이나 극저온 장치 없이도커뮤니케이션팀 2025.09.09 38
-
-
고려대, 얼린 세포 기능까지 되살린다 세계 최초 생분해성 DNA 동결보존소재 개발△ DNA 프레임워크는 세포막에 결합하여 세포를 보호하고, 얼음 성장을 억제하며, 해동 후에는 스스로 분해됨. 이러한 소재는 기존 보존제보다 뛰어난 효과를 보여, 동결된 세포의 회복과 기능 유지에 크게 기여함.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화공생명공학과 안동준 교수가 서울대 기계공커뮤니케이션팀 2025.09.08 32
-
-
고려대, 먹고 싶은 충동 뇌 신호 찾았다 강박적 섭식 행동 조절 기전 규명도파민-인슐린 교차신호 밝혀 비만 정신질환 치료 길 열었다△ (왼쪽부터) 고려대 생명과학부 백자현 교수(교신저자), 고려대 김보경 박사과정(제1저자)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생명과학부 백자현 교수 연구팀이 뇌 속 도파민과 인슐린 신호의 상호작용이 강박적 섭식 행동을 조절한다는커뮤니케이션팀 2025.09.05 30
-
-
고려대, 기능적 MRI의 시간 지연 으로 뇌 신호 전달 과정 밝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시계열 데이터로 시간 지연 값을 계산하여, 시간 지연 행렬의 고유벡터를 계산하는 과정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뇌공학과 박보용 교수 연구팀이 성균관대 박현진 교수 연구팀과 함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에서 측정되는 시간 지연 이 실제 뇌 신호의 전달 과정을 보여커뮤니케이션팀 2025.09.04 26
-
-
고려대, 소득별 의료비 지출과 건강 개선 효과의 연관성 규명△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박성철 교수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보건정책관리학부 박성철 교수 연구팀이 한국 사회의 소득 수준에 따른 의료비 지출 대비 건강 개선 효과 를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은 더 많은 의료비를 쓰고도 가장 적은 건강 개선 효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연구 성과는 보건 분야의커뮤니케이션팀 2025.09.03 11
-
-
고려대, 세계 최초 PRT1 기반 단백질 분해의 구조적 원리 규명식물의 생장 조절 메커니즘 새롭게 밝혀△ PRT1의 ZZ 도메인 결정 구조(주황) 및 복합체 구조(옥색).빅브라더 단백질의 아미노-말단(흰색)과 PRT1의 ZZ-도메인이 결합한 상태를 보임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생명과학부 송현규 교수가 이끄는 융합분해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이 식물 기관의 크기를커뮤니케이션팀 2025.09.01 26
-
-
고려대, 세계 최초로 산모 장내 세균 식습관이 아토피 발병에 미치는 영향 밝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아토피 피부염 발병 모델피칼리박테리움이 유익균보다 우세하고, 모체의 식이섬유 섭취가 부족한 경우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심화된다.이로 인해 모체와 자손 모두에서 전신 염증이 증가하고, 자손에게서는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피부 조직 손상이 유발되어 아토피 피커뮤니케이션팀 2025.08.29 39
-
-
고려대, 자동차 태양전지 온도 낮추는 투명 냉각 필름 개발△ (상) 야외에서 투명 복사냉각 필름 적용 예시(좌하) 규칙적으로 자가조립된 실리카 입자의 오팔 격자 구조(우하) 색이 존재하는 투명 복사냉각 필름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KU-KIST 융합대학원 겸 융합에너지공학과 이승우 교수 연구팀이 차량 유리와 태양전지 표면 보호 유리에 적용할 수 있는 투명커뮤니케이션팀 2025.08.29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