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얼려 굳힌 하이드로젤로 세포외 소포체 간편하게 분리한다
- 고려대-KIST, 얼려 굳힌 하이드로젤로 세포외 소포체 간편하게 분리한다세포외 소포체를 손쉽게 분리해 정밀 의료 신약 개발 등 진단 치료 분야에 활용할 새 가능성 제시△ 하이드로젤
- 2025.10.22 커뮤니케이션팀
게시글 리스트
-
-
고려대-KIST, 얼려 굳힌 하이드로젤로 세포외 소포체 간편하게 분리한다세포외 소포체를 손쉽게 분리해 정밀 의료 신약 개발 등 진단 치료 분야에 활용할 새 가능성 제시△ 하이드로젤 기반 세포외 소포체 분리와 동결-광가교를 통한 메조-매크로다공성 하이드로젤 제작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의과대학 대학원 의과학과 겸 의학과(융합의학교실) 최낙원 교수와 공과대학커뮤니케이션팀 2025.10.22 1
-
-
고려대 이인규 교수, 제70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4G 5G 핵심 기술 선도 공로 인정, 국내 통신산업 발전에 기여△ 제70회 대한민국학술원상 기념 사진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전기전자공학부 이인규 교수가 지난 9월 19일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열린 제70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시상식에서 공학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대한민국학술원상은 국내 학문 발전에 기여한 우수커뮤니케이션팀 2025.10.20 29
-
-
뇌처럼 학습하는 반도체, 현실이 되다 고려대, 수소결합 인공시냅스 개발△ 수소결합 기반 인공시냅스 소자의 작동 원리와 성능의 전체 구조 개략도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전기전자공학부 심재원 교수가 경상국립대 이태경 교수 연구팀과 함께, 수소결합을 활용해 세계적인 수준의 선형성과 안정성을 지닌 인공시냅스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인공시냅스: 뇌 신경세포(뉴런)커뮤니케이션팀 2025.10.17 20
-
-
고려대, 리튬 금속 배터리 더 오래, 더 안전하게 ... 은 이온 이용한 코팅 기술 개발실제 상용화 수준에서도 높은 효율 구현 차세대 배터리 수명 안정성 향상△ 배위결합 기반 층상자기조립(coordination bonding layer-by-layer, CB-LbL) 공정을 통해 니켈 전기도금된 폴리에스터 섬유 집전체 위에 은 이온과 트리티오시아누르산(커뮤니케이션팀 2025.10.16 21
-
-
고려대, 자동 프로그램 수정 정확도 높인다 PRISM 기술 개발△ PRISM이 과적합 패치를 자동으로 탐지하여 프로그램 자동 수정 기술의 정확도를 높이는 과정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컴퓨터학과 오학주 교수 연구팀이 자동 프로그램 수정(Automated Program Repair, APR)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적합 패치(overfitting patch커뮤니케이션팀 2025.10.15 15
-
-
고려대, 양자점 정밀 패터닝 기술 개발 AR VR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한다△ 양자점/나노결정 적용 가능한 기능성 포토레지스트 (F-PR) 구성 및 양자점/나노결정 패터닝 공정도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신소재공학부 오승주 교수 연구팀이 양자점과 나노결정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터닝 기술을 개발해, 전자 광전자 소자의 소형화와 고성능화를 위커뮤니케이션팀 2025.10.01 46
-
-
고려대-하버드대, 체중 정상이어도 위험? 美 성인 45% 임상 비만 임상 비만 새 정의로 숨은 위험군 밝혀 의료 보험 제도에 새 과제△ (왼쪽부터) 고려대 생물신소재연구소 박다현 연구교수(제1저자), 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신민정 교수(교신저자), 하버드대 T.H.CHAN School of public health 수브라마니안(S. V. Subram커뮤니케이션팀 2025.09.29 50
-
-
Nature Reviews Electrical Engineering, 고려대 안춘기 교수의 피지컬 AI 연구 리더십 주목△ 전기전자공학부 안춘기 교수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리뷰스 일렉트리컬 엔지니어링(Nature Reviews Electrical Engineering) 이 지난 8월 18일자 기사에서 전기전자공학부 안춘기 교수의커뮤니케이션팀 2025.09.29 34
-
-
고려대, 리튬-황 배터리 내부 반응 실시간 관측 첨가제 역할 다각적 규명△ 리튬-황 전지의 오페란도 광학 현미경 이미징 및 질산리튬 유무에 따른 전극-전해질 계면 반응 모식도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화공생명공학과 유승호 교수 연구팀이 오페란도 광학 현미경으로 리튬-황 전지 속 반응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질산리튬 첨가제가 전지 내 계면 전반에서 수행하는커뮤니케이션팀 2025.09.24 41
-
-
고려대, 자폐 유전변이 정밀 분석 기법 개발 신규 유전자 18개 밝혀같은 유전자라도 변이 위치에 따라 증상 달라진다△ 가족 기반 분석으로 발견된 신규 자폐 유전자와 특징새로 발견된 유전자들은 단백질 변형, 신호 전달 과정, 그리고 뇌에서 신경세포를 돕는 보조 세포들의 기능과 관련이 있었음.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안준용 교수 연구팀은커뮤니케이션팀 2025.09.24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