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ist,fnctNo=2
-
1955.05,
새교가 제정, 새교가를 부르는 신입생들 -
1946
학생증 -
1946
고려대학교 설립 인가서 -
1946
고대 모표 -
1946.8~1950.10
초대 총장 현상윤 -
1951.09-1953.08
피난지 대구 원대동 임시교사 -
1953
한국전쟁 당시 美 제5공군 사령부 통신대(교내주둔) -
1953.05.30
여학생환영회(대구임시교사) -
1954.01
영자신문-THE GRANITE TOWER 창간 -
1954.07.03
금란실(현 여학생회관) -
1955.02.08-1955.02.24
인촌 김성수 서거(국민장) -
1955.05
서관 일부 준공 -
1955.05.05
창립 50주년 기념식 -
1955.05.05
본교 최초의 명예법학박사(김병로) 학위수여식 -
1956.05
농림대학 신축(현 사범대 교사) -
1956.12
대강당 준공 -
1950년대
모의국회가 열린 아남민국 국회의사당(시공관) -
1957.04
-
1958.05
박물관 주최 신창재, 박재표 기증서화 전시회 -
1958.05
교기와 교장의 제정 -
1958.05
교기 제막 -
1947.11.03
고대신문 창간호 -
1953.03.25
본교 제1호 박사-현상윤 학위증
1946
1946.
02.
06.
제13대 교장에 현상윤 취임
1946.
05.
31.
재단법인 보성전문학교를 해산하고 그 재산을 재단법인 중앙학원이 흡수
1946.
08.
15.
종합대학으로 설립인가(초대 총장 현상윤)
교명을 ‘고려대학교’로 정하여 정법대학에 정치학과와 법률학과, 경상대학에 경제학과와 상학과, 문과대학에 국문학과, 영문학과, 철학과, 사학과를 신설
제1전문부(예과)와 제2전문부를 운영
교명을 ‘고려대학교’로 정하여 정법대학에 정치학과와 법률학과, 경상대학에 경제학과와 상학과, 문과대학에 국문학과, 영문학과, 철학과, 사학과를 신설
제1전문부(예과)와 제2전문부를 운영
1946.
09.
02.
고려대학교 개교식 거행
1947
1947.
11.
03.
광주학생항일운동 기념일을 기하여 <고대신문>이 창간되며 창간호 2천 부를 발행
1948
1948.
02.
고우체육회 발족
1948.
06.
15.
전문부가 마지막 졸업식을 거행하며 최종 폐지
1949
1949.
09.
대학원을 개원함. 2년제 석사과정, 4년제 박사과정을 설치하고 우선 석사과정(정치학과·법률학과·경제학과·상업학과)만으로 출범
1949.
12.
04.
법률학회·정치학회·변론부 주최로 ‘제1차 아남민국국회’라는 명칭의 제1회 모의국회 개최
1950
1950.
06.
27.
6·25전쟁 발발로 무기한 휴교 결정
1950.
10.
6.25 전쟁으로 현상윤 총장이 납북되자 임시관리책임자에 유진오를 임명
1951
1951.
09.
12.
피난지인 대구시 원대동 임시 교사에서 개강
1951.
12.
농학과 신설 인가
1952
1952.
09.
제2대 총장에 유진오 취임
부총장제를 신설, 초대 부총장에 이종우 취임
부총장제를 신설, 초대 부총장에 이종우 취임
1953
1953.
03.
대구·부산·전주·광주·대전 및 수복지역인 영등포에서 입학시험을 치러 4개 단과대학, 13개 학과, 학생 정원 2,560명의 종합대학에 걸맞는 규모를 갖추게 됨
1953.
03.
25.
본교 최초의 박사학위를 현상윤 총장에게 수여
1953.
04.
문과대학에 수물학과·화학과·생물학과를 신설하여 문리과대학으로 개편
농림대학(농학과·임학과)를 신설함
농림대학(농학과·임학과)를 신설함
1953.
08.
16.
휴전 협정과 서울 환도가 이루어졌으나 안암동 교사를 미군이 사용하여 계동 중앙중·고등학교 교사에서 개강
1954
1954.
02.
미군으로부터 안암동 교사를 반환받아 본교 교사로 복귀
본부기구(교무처와 학생처)를 설립하고 문리과대학에 문학부와 이학부를 신설
본부기구(교무처와 학생처)를 설립하고 문리과대학에 문학부와 이학부를 신설
1954.
03.
문리과대학 수물학과를 수학과와 물리학과로 분리
1954.
07.
영문학회에서 영자신문 The Granite Tower를 창간
1954.
07.
30.
‘금남의 집’(현재의 동원글로벌리더십홀 자리)을 준공하여 여학생 휴식공간으로 사용함. 1955년 11월 금란실로 개칭
1955
1955.
02.
18.
인촌 김성수 서거
국민장으로 영결식 거행(24일)
국민장으로 영결식 거행(24일)
1955.
04.
정법대학을 폐지하고 법과대학을 신설하여 법학과와 행정학과를 두며, 경상대학을 폐지하고 상과대학을 신설하여 상학과와 경영학과를 두고, 문리과대학에 정경학부를 신설하여 정법대학의 정치학과와 경상대학의 경제학과를 이에 소속시키는 한편, 농림대학에 농예화학과를 증설, 이로써 편제는 4개 단과대학 17개 학과로 확장되고 학생 정원은 3,320명으로 증원
1955.
05.
05.
창립 50주년 기념식 거행
김병로 대법원장에게 명예박사학위 수여
50주년기념논문집을 간행하고 새 교가를 제정
서관 일부 준공
김병로 대법원장에게 명예박사학위 수여
50주년기념논문집을 간행하고 새 교가를 제정
서관 일부 준공
1955.
12.
<고대문화> 제1집 발행
1956
1956.
03.
출판부 설립
1956.
05.
농림대학 교사를 준공
문리과대학 이학부에 화학실험실·물리학실험실·생물학실험실을 준공
문리과대학 이학부에 화학실험실·물리학실험실·생물학실험실을 준공
1956.
07.
02.
학교 배지를 기존 한문에서 국문 ‘고대’로 바꾸고 각 대학별로 색깔을 달리하며 국문으로 대학 또는 학부명을 표시하는 도안으로 갱신
1956.
09.
제3대 총장에 유진오 취임
1956.
10.
27.
10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고·연대친선경기’라는 명칭으로 고연전(야구·축구·럭비·농구)을 개최
‘고·연대친선경기’라는 명칭으로 고연전(야구·축구·럭비·농구)을 개최
1957
1957.
04.
UN 기탁도서관 설립
신관(현 대강당)을 준공하여 대규모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강당으로 사용
신관(현 대강당)을 준공하여 대규모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강당으로 사용
1957.
05.
한국고전국역위원회 설립(위원장 이종우)
1957.
06.
아세아문제연구소 설립(소장 이상은)
1958
1958.
05.
05.
개교 53주년을 맞아 교기와 교색 및 교장을 제정
1958.
06.
상과대학 부속 기업경영연구소 발족
1959
1959.
03.
25.
졸업식에서 처음으로 학사 학위복 착용
1959.
04.
농림대학을 농과대학으로 개칭하고 농업경영학과를 신설
문리과대학 정경학부를 정경대학으로 승격시키고 정치학과를 정치외교학과로 명칭변경
학교 배지 갱신, 진홍색 바탕에 호랑이 문양이 도안된 전교생 공통의 배지를 마련
문리과대학 정경학부를 정경대학으로 승격시키고 정치학과를 정치외교학과로 명칭변경
학교 배지 갱신, 진홍색 바탕에 호랑이 문양이 도안된 전교생 공통의 배지를 마련
1959.
05.
05.
인촌 김성수 선생 동상 제막
1959.
10.
22.
고연전 2년만에 재개
1959.
11.
14.
이용익 선생과 손병희 선생의 흉상 제막식 거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