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ist,fnctNo=2
-
1960.4.18
고대생 의거 -
1960.4.18
4.18 기념탑 -
1960.10
교양관 준공 -
1962
서관 준공 후 학교 전경 -
1962.05.05
-
1964.01.18
경영대학원 산업시찰 -
1964.05
자연계캠퍼스 준공 -
1965.10
교우들의 성금으로 건립된 구교문 -
1965.02.25
호상 건립 -
1968
지금은 사라진 홍보관 전경 -
1969
정기 고연전 -
1969.12
고대방송국 개국
1960
1960.
04.
18.
본교생 약 3천 명이 이승만 정권의 독재에 항거하여 시위를 감행
4월 혁명의 선봉이 됨
4월 혁명의 선봉이 됨
1960.
09.
제4대 총장에 유진오 취임
1960.
12.
과학관(현재의 우당교양관 자리)을 준공
법과대학 부속 행정문제연구소를 설립
법과대학 부속 행정문제연구소를 설립
1961
1961.
04.
18.
4·18기념탑을 건립하고 제막식을 거행
1961.
05.
01.
학도군사훈련단(ROTC)을 신설
1961.
06.
농과대학에 원예학과를 신설(1962년 4월 개강)
1961.
08.
30.
본교 사정에 따라 교무위원회에서 1961년 고연전을 개최하지 않기로 결정
1961.
09.
부총장 직제를 부활시켜 제2대 부총장에 대학원장 이종우 취임
1962
1962.
03.
교육법 제151조에 의하여 신학년도 시작을 3월 1일로 변경
<고대신문> 제300호를 발행하고 이를 맞이하여 학예상 2인·체육상 1인의 문화상 제도를 실시
<고대신문> 제300호를 발행하고 이를 맞이하여 학예상 2인·체육상 1인의 문화상 제도를 실시
1962.
05.
04.
제1회 석탑축전 개막, 3일 동안 30여 종류의 행사가 열림, 박물관 신축 개관
1963
1963.
03.
교내에 보건진료소를 설치
문리과대학 문학부의 교육심리학과를 교육학과·심리학과로 분리 개편하며 사회학과·독문학과·불문학과를 신설하고, 이학부에 화학공학과, 농과대학에 축산학과, 정경대학에 통계학과를 신설하여 총 4,760명 정원으로 개편
문리과대학 문학부의 교육심리학과를 교육학과·심리학과로 분리 개편하며 사회학과·독문학과·불문학과를 신설하고, 이학부에 화학공학과, 농과대학에 축산학과, 정경대학에 통계학과를 신설하여 총 4,760명 정원으로 개편
1963.
06.
농과대학에 농산가공실험실 건물과 온실 및 육종실험온실을 준공
1963.
06.
20.
한국고전국역위원회를 민족문화연구소로 명칭 변경
1963.
08.
경기도 덕소에 농과대학 실험실습농장 건설 착수
종암동 농장 이전 (1976년 9월 완료)
종암동 농장 이전 (1976년 9월 완료)
1963.
10.
호상 건립을 위한 발기인 대회
1964
1964.
03.
종전 3개 과장직을 총무과장·서무과장·학생과장·교무과장·학적과장·사무과장 6개 과장으로 확대
종전 학생처 여학생 주임과 더불어 본교 여학생감, 교양학부 여학생 주임 직제를 설치
문리과대학을 문과대학·이공대학으로 개편하고 이공대학을 이학부·공학부로 나누어 공학부에 토목공학과·건축공학과를 신설하여 총 5,080명 정원으로 개편
교양학부, 경영대학원 신설
종전 학생처 여학생 주임과 더불어 본교 여학생감, 교양학부 여학생 주임 직제를 설치
문리과대학을 문과대학·이공대학으로 개편하고 이공대학을 이학부·공학부로 나누어 공학부에 토목공학과·건축공학과를 신설하여 총 5,080명 정원으로 개편
교양학부, 경영대학원 신설
1964.
04.
사립학교법 제정에 따라 동법 부칙 제2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재단법인 중앙학원을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으로 조직변경
농대에 한국 최초로 방사선동위원소 실험실 설립
60년사 편찬위원회 발족
농대에 한국 최초로 방사선동위원소 실험실 설립
60년사 편찬위원회 발족
1964.
05.
애기능 캠퍼스가 준공되어 교양학부와 이공대학 공학부의 교사로 사용
1964.
06.
6.3 학생 시위로 본교생 13명이 구속
1965
1965.
02.
경영대학원에 주간부 신설
1965.
02.
25.
호상 제막식
1965.
03.
고연전을 매년 9월 네번째주에 양일간 개최하기로 연세대와 합의
김성곤 교우가 교문 건립을 위해 500만원을 기부
정경대학에 신문방송학과, 이공대학 공학부에 기계공학과를 신설하여 총 5,240명 정원으로 개편
김성곤 교우가 교문 건립을 위해 500만원을 기부
정경대학에 신문방송학과, 이공대학 공학부에 기계공학과를 신설하여 총 5,240명 정원으로 개편
1965.
04.
본교생 2,500여 명이 한일회담을 반대하는 시위를 하여 교무회의에서 4월 17일부터 24일까지 휴교하기로 결정
1965.
05.
05.
개교 60주년 기념식
<60년지> 및 <60주년기념논문집> 간행
<60년지> 및 <60주년기념논문집> 간행
1965.
08.
본교생 수천명이 한일협정 비준 무효화를 주장하며 5일간 시위를 벌임
무장군인 150명이 학교에 난입(25일)
한일협정 비준 무효화 시위로 인한 휴교 조치(28일~31일)
무장군인 150명이 학교에 난입(25일)
한일협정 비준 무효화 시위로 인한 휴교 조치(28일~31일)
1965.
09.
한일협정 비준에 따른 학생 시위로 인해 문교부의 휴교령이 발령(9월 6일~20일)
1965.
10.
07.
제5대 총장에 이종우 철학과 교수 취임
1965.
10.
22.
5년만에 고연전을 거행
기존 4개 종목에 아이스하키를 추가
최초로 현재의 고연전과 같이 5개 종목의 경기가 열림
기존 4개 종목에 아이스하키를 추가
최초로 현재의 고연전과 같이 5개 종목의 경기가 열림
1967
1967.
02.
25.
제60회 졸업식 거행
1967.
03.
25.
생산기술연구소 설립
1967.
11.
기계공학관 준공
1967.
12.
20.
교육대학원을 개원
어학교육전공(국어교육반·영어교육반), 사회생활교육전공(역사교육반·지리교육반·일반사회교육반), 수학교육전공의 3개 영역, 총 180명 정원으로 출범
어학교육전공(국어교육반·영어교육반), 사회생활교육전공(역사교육반·지리교육반·일반사회교육반), 수학교육전공의 3개 영역, 총 180명 정원으로 출범
1968
1968.
03.
농과대학에 식품공학과, 이공대학 공학부에 공업경영학과를 신설
총 5,480명 정원으로 개편
총 5,480명 정원으로 개편
1968.
04.
도서관에서 도서의 관외 대출을 시작
1968.
05.
잣나무를 교수로 제정
1968.
06.
홍보관 준공
전기공학과에 국내 최초로 마이크로파 자기공명장치 설치
전기공학과에 국내 최초로 마이크로파 자기공명장치 설치
1969
1969.
03.
서무과·농장사무과를 각각 총무과·농장서무과로 개편함.
이공대학 이학부에 지질학과, 공학부에 전자공학과·요업공학과를 신설
상과대학 상학과를 경영학과, 문과대학 국문학과·영문학과·독문학과·불문학과를 국어국문학과·영어영문학과·독어독문학과·불어불문학과로 변경. 총 6,240명 정원으로 개편
총학생회 집행부로 기존 총무부·학예부·섭외부에 더하여 생활부·공보부·응원부가 신설
이공대학 이학부에 지질학과, 공학부에 전자공학과·요업공학과를 신설
상과대학 상학과를 경영학과, 문과대학 국문학과·영문학과·독문학과·불문학과를 국어국문학과·영어영문학과·독어독문학과·불어불문학과로 변경. 총 6,240명 정원으로 개편
총학생회 집행부로 기존 총무부·학예부·섭외부에 더하여 생활부·공보부·응원부가 신설
1969.
06.
수력공학관 준공
3선 개헌 반대 시위로 휴교 (6월 30일~7월 3일)
3선 개헌 반대 시위로 휴교 (6월 30일~7월 3일)
1969.
11.
29.
신문방송연구소 설립(소장 오주환)
1969.
12.
고대방송국 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