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ist,fnctNo=2
-
1971.12.06
우석학원 합병 -
1970.08
아세아문제연구소의 한국통일문제국제학술회의 -
1970
정기고연전 개막식 -
1971.06
학생회관 준공 -
1971.12
새 교문 개통식 -
1972.06
경영본관 준공 -
1973
초기의 전자계산소 -
1973.06
워싱턴 대학과의 학술 교류협정 체결 -
1973.11.13
서독정부의 농과대학 지원기사(고대신문) -
1975.04
긴급조치 7호에 따른 고려대 휴교령 -
1976.10.20
농과대학 준공 -
1975.06.30
학도호국단 발단식 -
1976
의과대학 이호왕 교수 연구팀, 세계 최초로 유행성출혈열을 일으키는 한탄바이러스를 발견 -
1978.3.15
중앙도서관 신관 개관
1970
1970.
01.
빙구부, 전국체육대회에서 4연패 달성
1970.
03.
이공대학 이학부에 체육학과를 신설하고 농과대학 농업경영학과를 농업경제학과로 변경하며 이공대학 토목공학과·건축공학과 정원을 증원하여 총 6,420명 정원으로 개편
1970.
05.
22.
무역연구소 설립(소장 이준범)
1970.
10.
제6대 총장에 김상협 취임
1971
1971.
01.
구자경 럭키그룹 회장, 교사건립 기금으로 2천만원 기부
1971.
03.
상과대학에 무역학과를 신설하고 이공대학 체육학과 정원을 증원
1971.
05.
명예교수제도 실시
1971.
06.
30.
학생회관 준공
1971.
10.
수도경비사령부 군인 30여명이 고려대 난입하여 5명의 학생 연행(5일)
‘학원질서확립을 위한 특별법령’ 발표 후 서울시내 위수령 발동(15일)
서울시내 7개 대학에 무장군인이 진주 본교생을 포함한 7개 대학 1,800여명을 연행
한국사상연구회, 한맥회 등의 이념서클의 강제 해산
‘학원질서확립을 위한 특별법령’ 발표 후 서울시내 위수령 발동(15일)
서울시내 7개 대학에 무장군인이 진주 본교생을 포함한 7개 대학 1,800여명을 연행
한국사상연구회, 한맥회 등의 이념서클의 강제 해산
1971.
11.
이공대학 동관 준공
정기고연전 무산
정기고연전 무산
1971.
12.
10.
기초과학연구소 설립
1971.
12.
14.
학교법인 우석대학교 및 부속기관을 합병.
인수인계식과 현판식 거행
인수인계식과 현판식 거행
1971.
12.
21.
새 교문을 준공하고 개통식 거행
1972
1972.
03.
의과대학에 의예과·의학과·간호학과, 문과대학에 중국어문학과, 이공대학 이학부에 가정학과를 신설하고, 공학부 요업공학과를 재료공학과로 변경
1972.
05.
박물관에서 개교 67주년 기념 특별전 <조의사속도(朝儀士俗圖)>를 개최
1972.
06.
30.
경영본관 준공
1972.
10.
17.
대통령 특별선언에 의해 비상계엄령이 선포되어 45일간 휴교
휴교조치로 정기고연전이 무산
휴교조치로 정기고연전이 무산
1972.
10.
20.
문교부로부터 ‘대학교육 개선을 위한 실험대학’으로 지정
1972.
11.
01.
교육문제연구소 설립
1973
1973.
03.
사범대학을 신설하여 문과대학 교육학과, 이공대학 체육학과·가정학과를 사범대학 교육학과·체육교육과·가정교육과로 변경
이공대학 공학부 공업경영학과를 산업공학과로 개칭하며, 상과대학 무역학과 정원을 증원
바이러스병연구소·열대풍토병연구소를 설립
이공대학 공학부 공업경영학과를 산업공학과로 개칭하며, 상과대학 무역학과 정원을 증원
바이러스병연구소·열대풍토병연구소를 설립
1973.
03.
19.
일본 와세다 대학과 교수 및 학생 교환 협정 체결
1973.
04.
04.
독일문화연구소 설립
1973.
06.
미국 워싱턴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1973.
10.
30.
서독 정부의 무상원조에 의한 농과대학장기발전계획 확정(한국과 서독 정부사이의 약정은 1974년 7월 9일 발효)
1974
1974.
01.
교육대학원에 계절제 정규과정 개설
1974.
03.
문과대학에 노어노문학과를 신설
이공대학 공학부 화학공학과·기계공학과,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병설 의학기술초급대학 정원을 증원
이공대학 공학부 화학공학과·기계공학과,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병설 의학기술초급대학 정원을 증원
1975
1975.
02.
28.
본교 병설 의학기술초급대학을 정릉분교로 이전
1975.
04.
08.
대통령긴급조치 제7호에 의하여 본교에 휴교령이 내림(5월 13일 해제)
1975.
06.
제7대 총장에 차락훈 취임
학생회 해체되고 학도호국단 결성
학생회 해체되고 학도호국단 결성
1976
1976.
03.
우석병원을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칭
1976.
03.
19.
졸업논문제를 도입
1976.
04.
이호왕 교수와 이평우 바이러스병연구소 연구부장이 한국형 유행성 출혈열 병원체와 그 면역체를 세계 최초로 분리
1976.
09.
01.
국내 최초로 법의학교실을 창설
1976.
12.
15.
농과대학 신관을 준공하여 애기능으로 이전
1977
1977.
01.
15.
식량개발대학원 개원. 총 80명 정원의 농업특수대학원으로 출범
1977.
03.
사범대학에 수학교육과를 신설하고, 상과대학을 경영대학으로 변경하며 문과대학 불어불문학과, 이공대학 이학부 생물학과, 농과대학 원예학과, 정경대학 통계학과,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정원을 증원하여 총 8,420명 정원으로 개편
1977.
08.
제8대 총장에 김상협 취임
1978
1978.
03.
사범대학에 국어교육과를 신설하고, 이공대학을 이과대학·공과대학으로 개편
1978.
03.
15.
창립 70주년 기념 중앙도서관 신관 개관
1979
1979.
03.
병설 의학기술초급대학을 보건전문대학으로 개편
1979.
12.
러시아문화연구소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