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QS 세계대학평가 전공분야별 순위 27개 분야 100위권 내 차상위권 진입

2022 QS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기록 세계 74위


HOME

현재 페이지 위치

일반 

2024 QS 아시아 대학 평가 9위 등극
  • 글쓴이 : 커뮤니케이션팀
  • 조회 : 1216
  • 일 자 : 2023-11-13


2024 QS 아시아 대학 평가 9위 등극
전년도 대비 6계단 상승
학계 평판도, 외국인 학생 비율, 교환학생 비율 대폭 상승

 

 

고려대 본관 전경

▲ 본교 전경

 

 

‘2024 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고려대가 9위에 올랐다.

영국 글로벌 대학 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한 '2024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고려대가 전체 순위 9위에 등극하며 전년도 대비 6계단 대폭 상승하는 기염을 토했다.

2009년 QS 아시아 대학 평가가 시작된 이래로 고려대는 처음으로 탑 10에 진입하며 국내 최고 대학의 위치를 드러냈다. QS 아시아 대학 순위는 아시아 대학만을 대상으로 발표하며 2018년부터 국제연구협력 지표가 추가되면서 총11개 지표를 평가하고 있다. 평가 지표별 반영비율은 학계 평판도 30%, 졸업생 평판도 20%, 교원당 학생수 10%, 국제 연구협력 10%, 논문당 피인용 수 10%, 교원당 논문수 5%, 박사학위 소지 교원비율 5%, 외국인교수 비율 2.5%, 외국인학생 비율 2.5%, 해외로 나간 교환학생 비율 2.5%, 국내로 들어온 교환학생 비율 2.5%로 세분화하여 적용된다.

고려대는 중장기 발전 계획에서 분야 및 과제별 중요성과 시급성 등을 고려하여 투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예산 배분 등 적절한 운영을 유지하고 있다. 본교의 중장기 발전 계획을 바탕으로 부서별, 단과대학별 성과지표 관리 제도를 새로이 도입하여 학생 만족 및 역량 확대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내부 교육의 체계적 관리 체제 구축을 통해 내부 보장을 강화하고 RC(Research Coordinator) 제도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지원체계를 강화했다.

고려대는 학계 평판도, 외국인 학생 비율, 파견 및 유치 교환학생 비율 등이 개선되며 작년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평판도의 상승 원인은 본교의 제도와 정책 개선을 통해 교육과 연구의 질을 높이는데 노력을 기울인 결과로 평가된다.

※ 우수 지표(1) : 학계 평판도

고려대는 연구자 중심의 연구 지원 사업, 지식 창출과 더불어 사회 공헌에 중점을 둔 실용적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한 건강한 연구 생태계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국제학술지 논문게재 장려를 위한 원문교정지원사업 
- 학제간 연구지원사업을 통한 융합연구를 지원 
- 연구 실적의 양적인 부분 외에 질적인 면도 높이 평가하여 연구 성과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
- KURN(Korea University Research Network), 연구업적관리 툴을 활용한 우수 연구 실적 적극 홍보 
- Next Intelligence Forum을 통해 노벨상 수상자 초청 강연 진행 등을 통해 연구의 질 활성화 유도  

향후, 고려대는 해외 유수 대학 및 기관과의 포럼, 행사 등 다양한 국제 행사 유치, 국제 연구 협력 지원 사업을 통해 교내 국제 연구 협력 강화, 외국인 학생 및 교원 유치를 통한 교육의 국제화를 확대할 예정이다.

※ 우수 지표(2) : 외국인 학생 비율과 교환학생 비율

- outbound 파견 교환학생

1. 학생들이 파견 선택지를 넓히고 경쟁과 언어에 대한 부담을 낮출 수 있는 방향으로 선발 제도를 개편하고 협정교를 확대하고 있다. 

- UC System 9개 캘리포니아 주립대 (버클리, UCLA 등 23개 캠퍼스) 등과 신규로 협정을 체결하고 학생들의 수요가 높은 대학들과 교환 학생 인원을 확대하여 학생들의 수요를 반영

- 기존의 경쟁을 통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입시의 개념에서 벗어나 상담 기능을 신설하고 선발 전형을 대폭 간소화하여 학생들을 니즈에 맞는 학교를 함께 찾아가는 서비스로 변화. 이를 통해 이공계 전공자 등 교환프로그램 수학에 다소 소극적인 학생들의 수요 증대

2. 교환학생을 다녀온 선배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브이로그 공모전을 개최하여 우수한 사례를 포상하여 기 참가한 학생들의 경험을 활발히 공유함은 물론 파견을 계획하는 학생들에게 현장감 있는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고 파견을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함

- inbound 유치 교환학생 

1. 증가하는 본교 수학학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환학생 이외에 방문학생(visiting student) 프로그램 제도 확대로 다양한 대학 및 기관(provider)과 협정확대 (U Minnesota, University of Kansas, NLA Univ. College, Utah State University, U Oregon, IISMA, U Texas Austin,  ISEP Direct, U Vermont, IES/SAF, UNC-Chapel Hill, Cal State Univ System, WorldStrides, USAC). 이를 통해 대규모로 학생들을 유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영어강의, 기숙사 등 인프라도 확충하여 학생들의 만족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2. 외국인학생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 KUBA (Korea University Buddy Assistant), Student Counseling Service, Free Korean Class, Language Exchange, 체육대회, International Students’ Festival, Welcoming & Farewell pizza party 등 학생들의 적응 및 만족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만족도가 꾸준히 상승하고 학생들간의 추천으로 해외대학 선택 시 본교 선택 비율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