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로라할 제작사들도 만드는 데 몇 개월씩 걸린다는 뮤지컬을 두 달 만에 만드는 동아리가 있다. 방학마다 뚝딱뚝딱, 대본부터 무대, 음악까지 완성해 무대에 올리는 '100% 창작' 뮤지컬 동아리, 소울메이트는 '좋아서 하는 개고생'이란 슬로건을 바탕으로 뮤지컬에 대한 열렬한 사랑과 창작의 불꽃을 마음껏 피운다.
“어머니가 뮤지컬을 좋아하셔서 많이 보러 다녔어요. 관객으로서 무대를 바라보는 것도 좋지만, 직접 만드는 건 완전히 다른 경험이잖아요. 지금은 연출을 맡아 극본 작성과 연습 총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소울메이트에서 서로의 날것의 모습을 마주하고 소울메이트가 되어 가는 시간이 정말 특별해요.”
- 이소정
“고등학생 때 본 뮤지컬 〈웃는 남자〉가 계기가 됐어요. 그때 처음으로 뮤지컬의 서사를 이해하면서 감정적으로 빠져들었고, 그 이후로 뮤지컬에 대한 사랑이 시작됐어요. 총 연출로서 연출의 큰 틀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저마다 자기 이야기처럼 느껴지는 공연을 만들고 싶어서 열심히 작업하고 있어요.”
- 박수현
“재작년에 처음 뮤지컬을 봤는데, 커튼콜에서 배우님들의 후련한 표정을 보고 저 감정은 뭘까 궁금해졌어요. 그날 이후 뮤지컬에 빠져들어 소울메이트에 들어왔어요. 지금은 작사를 맡아 넘버(작품 속 노래)에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동료들과 함께 협력하며 얻는 보람이 정말 커요.”
- 김수민
“작곡에 대한 열정이 있어서 음악팀으로 활동을 시작했어요. 동아리에서 뮤지컬을 점점 알게 됐고, 관객으로 무대를 보며 배우들의 자유로움이 정말 인상적이었어요. 그 경험이 계기가 되어 이번에는 배우팀에 다시 들어왔죠. 소울메이트는 인생에서 가장 돌아가고 싶은 순간으로 꼽을 만한 기억들을 만들어 준 소중한 공간이에요.”
- 민혜린
“어릴 적 처음 본 뮤지컬이 〈맘마미아〉였어요. 그땐 그냥 '이런 게 있구나' 하고 넘어갔지만, 노래를 좋아해서 소울메이트에 들어오게 됐어요. 배우팀에서 유일한 남자 배우로 활동 중이에요. 모든 공연이 '초연'인 만큼 매번 새로운 극을 암기하는 게 쉽지 않지만, 공연 후 관객들의 뜨거운 반응을 느낄 때는 정말 뿌듯해요.”
- 윤영돈
“노래하고 춤추는 걸 좋아해요. 고등학교 때 우연히 〈데스노트〉의 한 넘버를 듣게 됐는데, 노래 안에 서사가 담겨 있는 점이 너무 매력적이더라고요. 대학에 와서 무대에 서고 싶다는 마음에 소울메이트에 들어왔고, 배우팀으로 활동하며 노래와 연기, 춤을 모두 해 보는 즐거움을 느끼고 있어요. 무대 위에서 관객과 마주하면 정말 큰 에너지를 받아요.”
- 심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