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자 |
2025 7. 4. |
---|---|
제 목 |
고려대 전주완 박사후연구원, 세계적 학술지 PNAS에 논문 두 편 연속 게재 쾌거 - 초기 고생대 생물초 생태계 진화의 숨겨진 역사 규명 |
내 용 (요 약) |
□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지구환경과학과 전주완 박사후연구원(지도교수 조석주 교수)이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IF=9.4)’에 고생물학 논문 두 편을 연속 게재하는 성과를 거뒀다. □ 전주완 박사와 연구팀은 지난 6월 30일 게재된 논문에서,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오르도비스기 생물대방산(Great Ordovician Biodiversification Event) 시기 생물초 생태계의 급격한 진화가 실제로는 해수면 하강에 따른 환경 변화와 보존 편향(preservation bias)의 결과임을 새롭게 제시했다. *논문명: Preservation bias obscures gradual Ordovician reef evolution *DOI: 10.1073/pnas.2511406122 *URL: https://www.pnas.org/doi/10.1073/pnas.2511406122 □ 기존 학설에 따르면, 약 4.6억 년 전 중기 오르도비스기에 생물초를 구성하는 다양한 동물이 급격히 출현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연구팀은 약 4.75억~4.6억 년 전의 해수면 하강으로 인해 침식과 화석 공백이 발생했음을 밝혀냈다. 이후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이미 다양화돼 있던 생물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재출현한 것이 ‘급격한 진화’로 오인되었음을 통계적으로 입증했다. *오르도비스기: 약 4억 8천만 년 전부터 4억 4천만 년 전까지 이어진 초기 고생대 지질시대 □ 따라서 오르도비스기 생물다양성 대방산은 단일한 사건이 아니라, 해수면 변화로 인해 관측되지 않았던 연속적인 진화 과정의 일부였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전기 고생대 전반의 생물다양성 증가 또한 점진적으로 확장되었다는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 앞서 전주완 박사와 연구팀은 3월 31일에 게재된 논문에서, 세계 최초로 인산염질 골격의 해면동물 화석을 발견하고 이를 ‘Lophiostroma leizunia’로 명명했다. 해당 화석은 약 4억 8천만 년 전 중국 후베이성 이창시의 하부 오르도비스기 지층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구팀은 생물초 생태계 형성 시점을 기존보다 약 2천만 년 앞당기며 큰 주목을 받았다. *논문명: Phosphatic stromatoporoid sponges formed reefs ~480 Mya *DOI: 10.1073/pnas.2426105122 *URL: https://www.pnas.org/doi/10.1073/pnas.2426105122 □ 국내 순수과학 학문후속세대 연구자가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에 논문을 연속 게재한 것은 극히 이례적으로, 이는 한국 고생물학의 연구 역량과 국제적 리더십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두 건의 연구는 모두 중국과학원 난징 지질 고생물 연구소(이하 난징 고생물 연구소)와의 협력으로 진행됐으며, 이 중 인산염 해면동물 화석을 보고한 연구는 영국 브루넬대학교, 충남대학교, 극지연구소와도 공동으로 수행됐다. |
담당부서 |
지구환경과학과 |
문 의 |
커뮤니케이션팀(02-3290-1063) |